태그 : 서유기 요약보기전체보기목록닫기
- 1783년 네덜란드 풍설서(0)2020.06.06
- 54. 웅담(0)2018.10.25
- 자고새(0)2018.10.15
- 효, 호루, 그리고 포월로(捕月老)의 바다(32)2018.06.17
- 타치바나 난케이는 왜 박쥐를 몰라야만 했을까?(1)2018.04.13
- 조선의 야마와로...?(2)2018.02.07
- 몽골제국, 그리고 1221년의 개기일식!(2)2018.01.26
-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는걸까?(4)2018.01.23
- 또다른 서유기, 도교 테러리스트(?), 그리고 14세기 베트남의 뇌법!(5)2018.01.11
- 17세기에 만리장성, 자금성, 한양 도성(사대문)을 본 일본인들의 반응은? (2)2017.07.23
1 2
- 橘南谿의 서유기(西遊記)
- 2020/06/06 20:29
18세기 의사 타치바나 난케이의 여행기, "서유기(西遊記)"에는 네덜란드 관련 이야기가 있는데요. 제가 6년 전에 소개한 84. 기기 (네덜란드)가 바로 그것입니다. 그런데 제가 이때 번역한 것은 출판본 서유기의 내용이고, 사본 서유기에는 더 추가적인 내용도 있습니다. 이를테면 그 해의 네덜란드 풍설서가 실려있다는 점입니다. 시기 상으로는, 이...
- 橘南谿의 서유기(西遊記)
- 2018/10/25 01:07
- 橘南谿의 서유기(西遊記)
- 2018/10/15 02:44
"자고로" 이 블로그는 18세기 에도시대 일본의 의사, 타치바나 난케이의 여행기를 번역하는 곳이었는데, 본질에서 멀어져 1년 넘게 서유기를 방치하고 있었네요.^^마침 트위터 상에서 "자고새"가 언급되어서 서유기의 자고새 기사를 번역합니다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..
- [東西洋考]
- 2018/06/17 20:20
- 橘南谿의 서유기(西遊記)
- 2018/04/13 19:10
"이 바위동굴 신의 심부름꾼이라고 전해져서, 예로부터 혹시 이 새를 잡았을 때는 이 근방 마을에 여러 가지 저주가 일어나는데 태풍, 홍수, 역병 따위가 대단히 앞다투며 발생해 백성의 한탄이 말도 못할 정도다. 이런 까닭으로 이 땅의 사람들은 몹시 서로 두려워서 꺼리고 경외한다. 참으로 이 밖에 일본 국내에 외다리 새가...
- 橘南谿의 서유기(西遊記)
- 2018/02/07 19:36
서유기 번역 연재 중 19. & 22. 산에 사는 요괴; 텐구, 야마와로, 야마온나?에서 야마와로라는 녀석을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. 보다 잘 알려진 일본의 "캇파"와 특성을 더러 공유하는 요괴였죠.二二 山童やまわろ (鹿児島)22. 야마와로 (카고시마) 九州極西南の深山に俗に山わろというものあり。薩州にても聞きしに、彼...
- 뇌법! 鬼를 울리는 천둥소리
- 2018/01/26 19:16
▲ 1221년 5월 23일의 개기일식 지도. 몽골 위에 표시된 본영(本影, 달 그림자가 지표에 닿는 부분) 지점에 주목.지난 포스팅에서 소개드린 적 있는 장춘진인서유기 이야기를 좀 더 해보겠습니다.구처기 일행이 원정중이던 칭기즈칸을 만나러 사마르칸트를 지나 아무 강(아무다리야 강. 다리야는 강이라는 뜻.)을 건넜다고 언급했는데요.&n...
- 용틀임하는 동아시아 근세
- 2018/01/23 23:15
적륜님께서 연경의 하란국 조공 사절단과 조선 연행사가 만남의 광장... 에서 함께 입조한 이야기를 해주셨습니다.과연 네덜란드인과 조선인 사이에 어떤 이야기가 오고 갔는지 궁금해집니다...하지만 안타깝게도 여기에 해당하는 기록은 아직 못 찾았는데,아무래도 조선 연행사와 하란 연행사 사이의 거리는 너무 먼 것입니다!(안남국이 훼방을 놓고 ...
- 뇌법! 鬼를 울리는 천둥소리
- 2018/01/11 01:14
제가 약 2년 전에 번역/연재한 Judith Boltz의 Not by the Seal of Office Alone(上, 中, 下, 評)이 있습니다. 도교 특정 종파가 화약을 이용해 타 종파의 사원이나 숭배대상이 되는 커다란 나무 등을 제거했다는 주장을 소개했었죠.여기서의 흥미로운 점은 성황당...
- 橘南谿의 서유기(西遊記)
- 2017/07/23 05:03
지난 37. 메가네바시 (나가사키) 포스팅에서 일본이 19세기 중엽이 되도록 아치 건축 기술이 없었다는 이야기를 했는데요. 여기 관련된 또다른 사료를 발견했습니다. 위 포스팅에서 다뤘던 내용과 함께 나열해서 두 사료를 함께 소개드립니다. 과연 전근대 시대에 아치를&...
1 2
최근 덧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