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am Kelley 교수님의 Premodern Mapmakers and the Question of Sovereignty를 번역합니다.

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필자는 전근대 지도를 들이밀고 주권을 주장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을 보는데 질렸다. 전근대 지도로는 주권 주장을 할 수 없다. 그렇기 때문에, 어떤 지역에 대한 역사적인 주권 주장을 하고 싶다면, 전근대기의 지도는 도움이 안 될 것이다.

위 지도로 예를 들어보자. 이 지도는 파라셀 군도 (황사 군도)를 하나의 섬으로 표시하고 있다. 그리고 그 위로 "섬"이 두 개 더 있다. 리런/리 년(里仁, 내가 알기로는 이건 하이난의 지명이다. 맞지?)과 하이난/하이 남. 하이난은 실제 섬이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라셀 군도와 같은 방식으로 그려져 있다. 심지어, 이 지도 상에는 하이난을 파라셀 군도와 구분할 만한 것(색깔, 선, 기타등등)이 전혀 없다.
그렇다는 것은 응우옌 왕조가 하이난 섬에 대한 주권을 가졌다는 말인가?
응우옌 영토의 서쪽 경계는 또 어떤한가? 이 지도에는 서쪽 국경이 없다. 그렇다는 것은 라오스 지역 또한 응우옌 왕조가 주권을 행사하는 영토였다는 말인가?
아니, 이건 전근대의 지도제작자는 지도를 만들 때 자국의 "주권이 미치는 영토"를 표시할 필요를 느끼지 않았다는 말이다. 그리고 지도제작자들이 그런 생각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, 우리는 그들이 제작한 지도를 가지고 주권을 증명할 수 없다.

위 지도도 마찬가지로 이 점을 증명한다. 이 지도의 하이난 섬은 파란색으로 둘러싸여있는데, 응우옌 왕국의 해안선과 강물도 마찬가지로 파란색이다. 그러니 파란색은 물을 가리킨다. 그런데 주권을 표시하는 선은 어디에 있을까? 그런건 없다.[1]


마지막으로, 또 하나의 아름다운 지도가 있다. 하이난 섬이 그려졌고, 서쪽으로나 북쪽으로나 국경은 없다.
그래서 이런 지도로 어떻게 하면 주권을 입증할 수 있는걸까? 방법은 오로지 지도를 볼 때 선별적으로 지도 상의 특정 부분에만 집중을 하고 나머지 부분은 무시하는 것이다.
그러나 이 선별적인 집중으로 인해, 이런 지도로 주권을 "입증"하고자 하는 그 어떤 노력도 좌절할 것이다. 왜냐하면 "상대편"이 해야 할 일은 (내가 위에서 한 것처럼) 지도의 나머지 부분을 가리키고, 이런 지도가 주권을 입증하는데 쓰일 수 있다는 주장의 논리를 타파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.
주권은 지도에 무언가를 그려넣는다고 입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, 그 지역에 지속적인 통치 체제를 둠으로써 입증하는 것이다. 이를 파라셀 군도에서 처음으로 시도한 것은 응우옌 왕조였다. 그리고 프랑스도 1930년대에 파라셀 군도에 통치체제를 더 오랜 기간 세웠다. 이것이 주권을 뒷받침하는 근거다.
전근대 지도제작자는 지도를 만들 때 주권을 생각하지 않았다. 그들이 만든 지도는 아름답다. 그러나 다른 세계관을 바탕으로 만든 것이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[1]

[2] "명확하지 않다"고 말하는 이유는, 대남일통전도에 "섬라국지계(暹羅國地界)"라고 써있는 좁은 골짜기(?)가 있기 때문이다. 대남일통전도와 메콩강 그리기 포스팅 참조.
P.S.
파라셀 군도가 주권 행사 지역이 아니라, 피해가야 할 "바다에 있는 바위"라는 건 중국 지도도 마찬가지다.
셀든 지도 참조.
최근 덧글